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 접어들면 자동차도 월동준비를 해야 하죠.
차량에 문제가 생기기 쉬운 계절인 만큼 차량을 점검하여 크고 작은 사고를 방지하며 안전하게 자동차를 이용하도록 신경 써야 합니다. 그럼, 겨울철 자동차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터리 점검


겨울철 자동차 관리는 '배터리'를 빼놓을 수 없는대요.
히터, 열선 등 자동차 내에서 전기를 사용할 일이 많기 때문에 배터리 전력 소모가 많습니다. 게다가 겨울에는 배터리 기능이 낮아져 더 빠르게 방전될 수 있습니다.
겨울철이 되기 전 미리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교체해주는 것이 좋으며, 수시로 배터리 상태를 체크해줘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


타이어는 추운 겨울이면 꼭 체크해줘야 하는대요. 타이어는 고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온도가 내려갈수록 탄성이 떨어져 수축됩니다. 바로 딱딱해지는 '경화현상'이 나타나는 건대요.
미끄러운 빙판이나 눈길에서 충분한 접지력을 확보하지 못해 위험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타이어 공기압을 10% 정도 더 주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와이퍼 워셔액


자동차 워셔액은 유리세정 기능도 있지만, 겨울철에는 전면 유리의 결빙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워셔액이 여름용이 아닌 사계절용으로 되어있는지 점검해야 하는대요. 워셔액이 탱크 안에서 동결될 수도 있고, 워셔액이 동결된 상태에서 와이퍼를 그대로 작동하면 전면 유리에 스크래치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부동액 점검

부동액은 차량 엔진의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하는대요.
겨울철에는 이 부동액도 얼 수 있기 때문에 물을 섞어서 사용해야 한 겨울에도 쉽게 얼지 않습니다.
이 부동액에 섞어주는 냉각수는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비용 문제로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광물 성분이 많이 들어있는 지하수나 생수는 차에 좋지 않습니다.
부동액의 경우 3만km정도 운행하다 교환해주면 되는데, 셀프로 교환하거나 가까운 카센터에 방문 교환하시면 됩니다.
댓글